SubVersion.
취업을했다. 진행중인 두가지 프로젝트중 한 프로젝트가 SVN을 사용해서 처음 접하는 VCS관련 명령어 몇가지를 가져왔다.
우선 SVN을 설치하도록 하자
brew install svn
checkout ( Git에서 Clone과 동일)
svn checkout "URL"
update ( Pull )
svn update
commit ( Git에서 commit과 push를 동시에 한것과 동일 )
svn은 로컬저장소와 원격저장소가 서로 동일한 버전상태로만 관리가 가능하다 커밋즉시 푸시까지 이뤄지는것이니 commit시 상당히 주의
-m 은 커밋메시지 작성옵션 줄 개행을 위해서는 \n 을 삽입해야한다...
svn commit -m "line1 \n line2"
귀찮으면 커밋메시지 파일을 만들어 작성하는것도 가능하다. 이게 편한건가? 싶다.
svn commit -F message.txt
작성하다가 개망했다 롤백을 해보자
svn revert -R .
특정 버전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리비전 번호를 작성한다
//리비전 번호 확인
svn log
svn update -r <update 받았던 리비전 번호> .
svn이 관리하는 파일의 상태를 확인하려면
svn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svn은 변경된 파일만 보여주지 않고 모든 파일을 다 보여주기 때문에 프로젝트 크기가 크면 변경된 파일 찾기가 힘들어서 grep으로 변경된 파일만 잡아서 보자
- M: 파일이 수정되었음 (Modified)
- A: 새로운 파일이 추가되었음 (Added)
- D: 파일이 삭제되었음 (Deleted)
- R: 파일의 이름이 변경되었음 (Renamed)
- C: 충돌이 발생함 (Conflicted)
svn status | grep "^M"
마치며
SVN을 짧은 시간 사용하며 느낀점.
svn은 정말 간략하고 프로젝트를 원격저장소에 공유한다는 것에 목적을 두고 그것에만 집중한 느낌.
한마디로 담백하다
그러나 svn은 작은 병아리와도 같아서 시도때도없이 error를 싸는데 그럴 때마다 이것이 필요할 것이다.
svn clean
good work
'Dev op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LI- how to log out git 깃허브 키체인 등록/삭제. (0) | 2023.07.01 |
---|